본문 바로가기
수타 소바 기술

도예가의 기술 꼬막밀기 소바기술로도 사용

by 키리안 2023. 3. 19.
반응형

도예가의 기술이 소바기술로 사용되는 것을 아셨나요? 혹시 임진왜란 때 끌려간 도예가들이 일본에 꼬막밀기를 전수해 주고 그 기술이 퍼져 소바에까지 스며들었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도예가들이 기술을 발휘하려면 우선 점토를 가져다 "수비"를 해야 합니다.

 

 

꼬막밀기 기꾸네리 도예가와 도자기

 

비슷한 공정의 도예와 소바기술

수비는 흙에 물을 풀고 3~4번 채로 거른 후 광목천에 부은 후 햇빛에 자연 건조를 시키는 일로 어렵지만 꼭 해야 하는 일이죠. 약간 꾸덕하게 마르면 그 흙을 떼어다 숙성에 들어갑니다. 도자기를 만들 때는 숙성된 흙을 필요한 만큼 가져가서 발밟기 후에 꼬막밀기로 공기를 완전히 빼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흙속에 굵은 돌이나 공기방울이 포함되어 있으면 금이 가거나 뜨거운 열기에 공기방울이 빠져나오며 주위 작품들까지 피해를 주기 때문에 수비에서 발밟기, 꼬막밀기가 필수과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도예가들이 꼬막밀기로 흙속의 공기방울을 빼는 모습
꼬막밀기

 

소바의 재료가 되는 메밀쌀은 제분 시 크기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굵은 것은 더 갈아내면서 부드러운 가루로 맞춰나갑니다. 메밀쌀을 소바로 만들 수 있도록 제분해서 물을 넣은 후 꼬막밀기(기꾸네리)를 합니다.

 

도자기도 소바와 마찬가지로 흙의 전처리가 꼭 필요합니다. 알맞은 상품으로 만들어 나가는 과정인데요 점토 속에 보이지 않는 공기방울을 빼내기 위해서 역시 꼬막밀기를 합니다. 조개 꼬막의 모양을 상상해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거 같은데요 흙을 꼬막 모양으로 만들어 가면서 공기를 뺍니다.

 

소바를 만들 때 메밀반죽 속 공기방울을 꼬막밀기로 밀어내야 합니다. 도자기와 같은 이유인데요 도자기를 만드는 과정과 소바를 만드는 과정이 어찌 이리 비슷한지 신기합니다. 

 

 

꼬막밀기 국수반죽기와 토련기 사진 냉면 반죽기 사진들
국수 반죽기

 

토련기 모습과 부속품의 사진
토련기

 

도자기와 국수 업계 양쪽 다 꼬막밀기가 쉬운 일은 아닙니다. 힘들긴 힘들었는지 기계를 만들어 냈는데요 흙에는 토련기 국수 반죽에는 반죽기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모양을 보시면 국수 반죽기와 토련기가 비슷합니다. 내부 부품이나 구조도 거의 비슷한 것 같지 않으세요?

 

기계에서 나오는 결과물도 비슷하게 생겨서 그 결과물로 한 곳은 시원한 냉면을 만들어 내고 또 한 곳은 예술 작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게 됩니다.

 

토련기에서 흙에 공기를 배는 모습

 

도자기와 소바의 완성도를 위해서는 공기를 빼는 작업은 필수입니다. 도예가의 기술 꼬막밀기도 같이 사용할 수 있고 기계의 구조도 같은 것 같습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토련기에 흙대신 메밀반죽을 넣고 뽑은 후 냉면기계로 뽑아 국수를 만들어 먹고 싶습니다.

 

반대로 냉면반죽기에 흙을 넣는 것은 위생상 별로일 것 같은데요 어쨌든 될지 안 될지 모르겠지만 화재가 되기는 할 것 같습니다.

 

제가 아니더라도 혹시 토련기를 갖고 계신 도예가 분이 흥미가 생기실 수도 있지 않을까요? 토련기로 뽑은 메밀반죽으로 칼국수나 수제비 정도는 바로 해 드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반응형